안녕하세요.

뱅뱅완입니다. 

 

감사일기를 작성하는데 날짜 키워드를 보고싶어 작성합니다. 

 

날짜 핵심 비고
2023.03.25 | 1일차 초급반 선생님들, 세차장의 선생님, 중학교친구들 -
2023.03.27 | 2일차 공기, 자동차, 생활, 자연(꽃) -
2023.03.28 | 3일차 기상, 수영 1번, 회사의 장점, 다른사람의 배려  -
2023.03.29 | 4일차 배려, 자아성찰, 메모, 문제해결 태도, 부모님 -
2023.03.30 | 5일차 운전, 선입견, 커뮤니티, 그릇 -
2023.03.31 | 6일차 부모님, 환경, 협업 -
2023.04.01 | 7일차 연수반 선생님, 라디오, 햇살, 내비 -
2023.04.02 | 8일차 농사 장인, 날씨 생명 -
2023.04.03 | 9일차 감사받는 입장, 지적 -
2023.04.04 | 10일차 영감, 카풀, 건강한 몸, 나무 -
2023.04.05 | 11일차 운전, 익숙함 -
2023.04.06 | 12일차 미용실, 봉사, 119 -
2023.04.07 | 13일차 나이 -
2023.04.08 | 14일차 감사의 자세 -
2023.04.10 | 15일차 느림의 미학, 전쟁 -
2023.04.11 | 16일차 건강, 환경, 도서관 -
2023.04.16 | 17일차 포도당, 지포스나우  
2023.04.17 | 18일차 음식, 자격지심  
     
     
     
     
     

'완료 꾸러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수영일지 -완-  (14) 2023.08.30
0. 대전 수영장 목록  (0) 2023.07.04
0. 나의 수면일지 -완-  (2) 2023.07.04

 

 

모든 저작권은 김주환 교수님에게 있습니다. 

 

감사 혹은 고마움은 내 삶에서 벌어지는 일들에 대해 은혜라 여기고 (gratitude), 깊이 살펴보아 (thank), 그 가치를 충분히 음미하고 만끽하는 것(appreciate)입니다.

감사하기 훈련은 다른 자기긍정 타인긍정 훈련들과는 달리, 굳이 자기 자신에 대한 감사와 타인에 대한 감사를 별도로 나누어서 진행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감사한다는 것 자체가 이미 자기긍정과 타인긍정의 요소가 모두 포함되기 때문입니다. 
감사하기는 나에게 생긴 어떤 일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면서 동시에 그 일이 누군가 다른 사람 덕분에 일어났다고 생각하는 마음 상태입니다. 
말하자면 감사하기는 지금 나에게 주어진 것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면서(자기긍정), 
동시에 그것을 준 사람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것(타인긍정)입니다. 
이처럼 자기긍정과 타인긍정이 동시에 일어나기 때문에 감사하기는 전전두피질 활성화를 위한 매우 효과적인 훈련법입니다. 
수많은 연구가 감사 명상이나 감사 일기, 감사 노트 등의 다양한 감사훈련이 강력한 효과를 갖고 있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종교가 있는 분들은 감사 기도를 통해서도 효과적인 감사훈련을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어떤 종교든 감사 기도는 매우 중요합니다.  
저명한 신학자 마이스터 에크하르트는 우리가 드릴 수 있는 기도는 “감사합니다” 한마디 뿐이라고 단언하기도 했습니다. 
이러저러한 소원을 비는 것은 기복신앙에 불과하다는 것이지요. 
절대자에게 무엇을 더 해달라고 요구하는 것은 집착이고 욕심입니다. 
인생의 비극은 고통을 겪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이미 받은 것들의 소중함을 깨닫지 못하고 이미 은혜 속에 살고 있음에 대해 감사하지 못하는 데 있습니다. 

종교가 있든 없든, 과학적으로 효과가 입증된 감사훈련을 꾸준히 하신다면, 삶이 한단계 업그레이드 되는 경험을 해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많은 사람들의 삶을 변화시킨 감사 훈련 방법을 배우고 직접 한번 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효과가 입증된 감사 훈련 직접 해보기 

우리는 목표는 자기조절력, 대인관계력, 자기동기력 - 세가지 마음근력을 키우는 것이다. 

편도체와 전전두피질의 상호작용 = 편안전활 필요! 

입증된 감사의 효과들 

- 면역 증가

- 염증 완화

- 혈압 강하

- 통증 완화

- 세로토닌 증가 

- 인간관계 개선(가족, 직장, 친구)

- 우울감, 불안장애 증상 완화

- 수면질 상승

- 문제해결력, 창의력, 인지능력 향상 

- 기분이 좋아짐

 

감사, 고마움 = Gratitude; Thank; Appreciate 

 : 은혜, 기억한, 가치를 인정함

- Geatia(은혜), Gratus(기쁨) -> gracias; grazie; grace 

- Merces(자비, 보상) -> Merci, Mercy -> Maria de las Mercedes

 

- Thank = Think : 베푼거 생각할 거야 

- Thinking is thanking -하이데거

 

- Ap+price = toward + value = 어떤 것의 가치를 어림잡다, 평가(감정)하다 = savor

 : 당신의 공헌에 대해서 높이 평가한다. 

- '감사하다'의 고유어인 '고맙다'의 어원이 '곰'이라는 설이 있다. 단군신화와 엮어서 곰을 숭배하던 집단이 감사의 마음을 표할 때 자신들이 신성시하던 곰을 빌려와 나타난 표현이 아니겠느냐라는 것. 

고대인에게 있어 공경, 존귀의 대상은 신이다, 따라서 신에게 감사한다는 어원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출처 : 국어어원사전, 서정법, 보고사, 2000)

 

감사(Gratitude)

뇌연구 결과 : 감사명상은 전전두피질 중심의 신경망을 활성화 

반복적인 부정적 생각(RNT) 감소; 불안장애, 우울증, 치매 예방 효과 + 성취력 강화 효과 

 

자기긍정과 타인긍정을 동시에 하는 효과

감사하는 마음은 이미 모든 것을 이룬 사람의 마음 상태 

 

다마지오 팀 - 감사의 신경망 -> ACC - mPFC 활성화 

Fox, G. R., Kaplan, J., Damasio, H., & Damasio, A. (2015).

Neural correlates of gratitude. Frontiers in Psychology, 1491.

 

감사의 효과 크기: 감사하기 < 감사 받기 (?)

 

추천 유튜브 나중에 보는 것을 추천함. 

Andrew Huberman의 The Science of Gratitude & How to Build a Gratitude Practice | Huberman Lab Podcast #47

(1:00:01 - 1:04:54)

 

감사의 효과로  감사를 잘하는 사람은 불행이 있어도 덜 불행하다. 못하는 사람은 불행이 있으면 더 불행하다. 

 

감사 훈련법

- 세가지 영역 

 '- Gratia: 은혜(은총)임을 깨닫기

 '- Think:  생각하기

 '- Appreciate: 소중함을 깨닫기 - Savoring(음미? 감상?)

: 내 삶이 은총임을 깨달아야한다. 은총이 아니라고 하면 생각이 없는 것이다. 그래서 생각을 해야 한다. 

 지금 블로그를 읽고 있는 사람은 블로그를 읽을 수 있는 상황에 감사해야한다. 

 

- Savoring (음미? 감상?)훈련 - 무한한 가치임을 느끼기 

 '- "Priceless"의 가치를 마음 속 깊이 느끼는 훈련

 '- 진정한 가치를 지닌 것은 항상 값을 메길 수 없음 ( priceless, not valueless)

: 호흡 하나 하나에 감사를 해야 한다. 들숨과 날숨 자체에도 내가 잘나서인가 아닌가? 

 너무나도 당연하게 가지고 있어서 생각을 못한다.  

 [ex: 공기, 사랑, 믿음, 우리 삶에서 가장 귀한것은 공짜로 주어준다.]

 

물고기가 물에 대한 가치를 느낄 수 있을까? 그래서 우리는 주변을 더 깊이 생각을 해야 한다. 

 

- 감사받기 = Being kind 

- 감사 일기, 감사 노트(!)

: 은혜, 생각, 소중함을 진심으로 느껴야함. 

 

"Appreciation"의 중요성 - 표시된 가격이 약효에 미치는 영향 

- 경제학자(Dan Ariely)의 플라시보 실험 

- 최신 진통제 - 같은 조건

 '- A그룹 - 2.5달러의 가격표

 '- B그룹 - 2.5달러의 가격표 0.10으로 할인된 표시 

 

- 약 복용 전후에 각각 손목에 전기 충격기로 통증 자극을 줌

 

- A그룹 - 85.4% 통증완화, B그룹 61% 통증완화 

: 문제는 진통제의 효과가 없는 약인데 이러한 결과를 보인다. 

 

감사능력의 기초 : 마음이론 -> 대인관계력

- 만 3.5세 경, 다른 사람의 입장을 생각하기 시작할 능력이 생길 때, 자의식이 생김

 너와 구분되는 나, 나와 구분되는 너.

 너의 입장을 헤아리는 순간, 우리는 주체로서의 자아(self)를 확립하기 시작

 

- 타인의 입장을 생각할 때, 나 자신에 대해 생각할 때 = mPFC 네트워크 

MPFC가 활성화 된것은 무엇과 관련 있냐면 우리 자신의 생각을 드러내고, 우리 자신의 느낌이나 믿음을 드러내는 것과 관련 있다. 동시에 다른 사람의 마음 상태를 표상하는 것과도 관련 있다. 그래서 우리의 행동을 결정하는 것은 이 세상이 어떻게 생겼느냐라는 상태가 아니라 우리가 세상이 어떻다고 믿는 것으로 결정된다. 

 

- Elizabeth Meins 교수팀의 연구 - "Mind-mindedness"의 중요성

: 어린 아이를 키우는 엄마가 아이를 마음을 보고 챙겨주는 것을 이것이 있으면 2년 뒤에 기억력, 인지능력이 월등하게 높다 Mind-mindedness가 떨어지는 부모님 밑에 자란 아이보다 

: 아이 입장에 배가 고팠는데 기저귀를 갈아주고 용변때문에 기저귀를 갈고 싶은데 밥을 준다거나 그러면 뇌 발달이 떨어짐 그 반대로 원하는 것을  그대로 해주었을 때 뇌의 발달이 높아짐. 

: 아이를 키우면서 혼잣말의 중요성, 어 그랬어, 어 이랬어, 그렇구나 이러한 말들이 아이의 뇌에 그대로 들어가서 각인이 되어 그게 자라서 3.5세가 되면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는 자의식이 생깁니다. 

 

 

샐리가 인형을 바구니에 놓고 가면 앤은 어디에 인형이 있을까요? 

할때 앤은 박스를 먼저 찾아본다. 바구니에 놓은 것을 모르면 자폐아의 가능성이 있다. (4세일때)

 

공감(Empathy)은 마음이론(ToM)과 어떻게 다른가? 

자신의 몸에 깃털이나 냄새를 맡게하는 것과 다른 사람이 깃털이나 냄새를 맡게하는 영상을 보여주었을 때 뇌는 똑같은 자극을 받는다. 그리고 남자 보다는 여자가 더 잘 느낀다. 

 

지금 살아있다면 감사해야한다. 

- 인간의 유아시절 - 생존능력 없음

 '- 포유 동물 기준 - 20개월 정도의 임신 기간 필요, 1년 가까이 일찍 태어나는 것

 '- 인간의 뇌는 전체 신경망의 6분 5가 출생 이후에 형성

 '- 뇌의 성장: 침팬지 - 2배 인간 - 4배

- 생후 2년 - 시냅스 연결이 최고 수준 

: 숨을 쉬고 살아있는 것에 엄청나게 감사해야한다. 만약에 케어가 없으면 1주일안에 죽었을 것이다. 

 

인류학자 몬태규(Ashley Montagu)는 출생 후 첫 9개월을 '제2의 9개월' 혹은 '자궁 밖에서의 회임 기간'이라고 부름. 

원래 산모 뱃속에 있어야 하는 시기인데 일찍 나왔다는 뜻이며, 태반 속에 있을 때 만큼이나 안정적인 정서적-신체적 보살핌이 필요한 시기라는 뜻을 함축.

 

해리 할로우의 원숭이 실험

우유만 나오는 철의 엄마와  우유는 안나오지만 털(스킨쉽)이 있는 엄마로 어린 원숭이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예상으로 우유가 나오는 엄마를 더 선호할 것이라고 생각을 하였지만  털이 있는 엄마르 더 좋아한 것이다. 배가 고프면 

우유가 나오는 엄마에게 가서 우유를 먹고 나머지 모든 시간을 털이 있는 엄마에게 붙어서 시간을 보낸다.  

그리고 이 2분류의 원숭이들은 털이 있는 엄마쪽에 있는 아이들은 사회생활을 잘했지만 철의 엄마에 있는 아이들은 비정상적으로 자라게 된것이다.  

우리가 건강하고 바른생각으로 자란것은  생존이 도움을 받은것도 있지만 스킨쉽을 통하여 정서적인 뇌발달을 도와주신 분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양육자와 아이의 내면소통

- 3.5세부터 기억자아=개별자아 형성

- 내면소통은 대인(interpersonal) 소통보다 먼저 시작

- 양육자의 목소리는 아이의 의식에 각인됨

 

- 뇌는 자신에 대해 생각할 때와 양육자에 대해 생각할 때 거의 똑같이 반응

- 나에 대해 생각할 때 = 자기참조과정 = 엄마에 대한 생각 = mPFC 중심의 신경망

- 양육자의 목소리가 각인되어 있다는 뜻이라기보다는 의식에 펼쳐져 들어와 있다

 내향적 펼쳐짐(enfolding) 내적질서(implicate order)를 이룬다.

 

Self-Mother Identification

 우리의 뇌 깊은 곳에는 엄마와 나를 동일시하는 기제가 자리잡고 있으며, 특히 엄마를 생각할 때나 나 자신에 대해 생각할 때 모두 내측전전두엽을 중심으로 활성화가 일어난다. 

 엄마에게 감사하는 것이 곧 나의 내면에 깊이 각인된 나 자신을 긍정하고 내 자신에게 감사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지닌다. 

특히 어린 시절의 엄마의 모습과 목소리를 기억하며 그 시절의 엄마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지니는 것은 자기 긍정과 타인 긍정을 동시에 하는 것과도 같은 강력한 효과가 있다. 

 

감사일기 쓰기 [가장 중요]

1. 매일 밤 잠자리에 들기 전에 

2. 하루 동안 있었던 감사할 만한 일 다섯 가지를 적는다. 

3. 3개월간 지속한다.

: 어떤일이 있었는데 무엇에 대해서 진심으로 감사한다.

 

: 뇌가 자기전에 감사할일을 생각한다. 그래서 하루종일 감사한 일에 대해서 생각을 계속하게되고 어느 순간 

 계속 감사에 대해서 생각을 한다. 

 

: 감사하다는 것을 나의 삶에 대해서 주인이 되는 것이다. 내 삶을 내가 사는것이고 내 인생의 주인공이 나다라는 마음을 갖고 있어야 감사를 할 수 있다. 

 

질문 1. 감사 받기도 효곽 있긴 하다는 말씀이죠? 

답변 : 누가 나한테 직접 감사해 효과있고, 다른사람이 다른사람에게 감사해 효과있고 진심으로 감사하다는 것을 진정성이 있어야한다. 

 

질문 2. 감사일기를 일주일에 한 번씩 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었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가장 효과적으로 감사일기를 쓰는 방법이 있을까요?  

답변 : 일주일에 한 번하는 것과 한달에 몰아서 하는것과 비교하였을때 한달보다는 일주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고 

          일주일보다는 매일 감사일기를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질문 3. 엄마가 나에게 사랑을 주지 않아서, 그래서 나에 대해서도 타인에 대해서도 좋지 않게 보고 있는데, 엄마의 영향에              서 벋어나 스스로 나를 사랑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답변 :  이 질문을 하는 순간  이 벗어나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배운 6가지를 통해여 용서하고 연민하고 사랑하고 수용하여 

           감사하기를 실천해야한다. 

 

번외 : 부정적인 사람의 특징은 남탓을 하는것인데. 어쩔 수 없는 것 없고 다 선택이다. 

- 출근하기 싫어요. 출근 안하면 퇴사당해요. -> 퇴사를 안당하는 것을 더 좋아해서 출근하는 것이다. 

 

Meister Eckhart 

If the only prayer

you said was

THANK YOU,

that would

be enough. 

 

당신이 기도에서 하는 말이 감사라는 기도만을 해도 

충분하다. 기도는 감사기도가 전부다. 

 

더이상 뭘 바라지 말라, 이미 우리는 은총 속에서 살고 있다. 

우리 삶은 비극은 너무나 많은 고통을 겪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너무나 많은 것을 받았음에도 그것에 감사하지 못하는 것에 있다. 

 

 

 

 

 

 

 

 

 

 

 

 

 

 

 

 

 

 

 

 

 

 

 

 

 

+ Recent posts